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전완부 골절 2 1. 몬테지아 골절(Monteggia Fracture) - 척골 근위부의 골절과 요골두의 탈구가 동반된 경우를 몬테지아 골절 또는 몬테지아 골절-탈구라고 하며, 전체 전와부 골절의 5% 이내이다. - 과회내전, 과신전 등 간접력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 주관절 굴곡 및 전완부 회전 운동장애를 보이며, 특히 후골간신경의 손상이 흔하기 때문에 신경학적 손상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요골두의 탈구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관절의 운동 범위가 감소하고, 전와부의 회전 장애 및 주관절과 상하 요철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므로 반드시 주관절과 손목관절을 포함하여 방사선을 촬영한다. - 모든 방사선 사진에서 정상적으로 요골 경부와 두부의 중심을 연결한 선은 상완골 소두의 중심을 지.. 2022. 8. 16.
전완부 골절 ** 서론 전완부: 요골, 척골 - 2개의 뼈 척상완 관절, 요소두 관절, 요수근 관절, 근위 및 원위 요척 관절 - 5개의 관절 골간막 으로 이루어져 있다. - 전완부의 특징적인 운동은 회내전, 회외전이 있으며 정상 운동 범위는 회내전이 80~85도, 회외전이 85~90도 정도이다. - 요골두의 중심과 척골 경상돌기를 잇는 선을 축으로 회전한다. 전완부를 회내전하면, 요골이 척골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일으키며, 이때 요골은 근위부로 이동하게 되어 원위 요척관절의 척골 변이가 증가하게 된다. - 전완부의 근육 전방 근육 이동 뭉치(mobile wad): 상완요근, 장요측수근신근(ECRL), 단요측수근신근(ECRB) –요골신경 굴곡 회내전근 군: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짐-정중신경 or 척골신경 얕은 층: 원.. 2022. 8. 10.
주관절 골절 및 탈구 -2 저번 시간에 이어 주관절 주위 골절에 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요골두 골절(Radial Head fracture) - 상완골의 소두와 요소두 관절을 이루고 척골의 절흔과 근위 요척관절을 이룬다. - 척상완 골 결합, 내측부인대, 외측부인대의 일차 안정화 구조물이 정상이면 기여도가 적지만, 이들이 손상될 경우 안정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가장 중요한 이차적 역할은 외반력에 대한 안정성 제공이다. 외반력에 대한 일차 안정화 구조물인 내측부인대의 역할이 소실되면 요골두와 소두 간의 접촉이 이차 안정화 구조물의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중요한 역할은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안정성 제공이다. 이 외에도 구상돌기의 단독 골절만으로는 안정성이 유지되나 요골두가 없으면 안정성이 급격히 감소.. 2022. 8. 9.
주관절부 골절 및 탈구 -1 - 주관절은 상완골 원위부의 활차와 소두, 척골 근위부인 구상돌기와 주두, 요골두로 이루어진 관절로 측부인대가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주관절은 외상 후 강직이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조기 운동이 매우 중요하다. 관절면을 포함한 골절은 관절 내 유착이 더 심하게 일어나고 인대 손상이 동반되면 강직의 위험성은 더욱 높아진다. 또한, 골절 편이 작고 접근하기 까다로워 안정한 고정이 어렵기도 하다. 주관절부 골절은 각각 부위의 골절을 나눠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상완골 원위부 골절 - 상완골 원위부 골절은 과상부에서부터 원위 관절면에 걸친 부위에 발생한 골절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며 대부분 불안정하여 내고정을 필요로 한다. 안정된 고정을 통해 조기 운동하여 좋은 결과를 기.. 2022. 8. 8.